'친명'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 내정…현안 해결 기대감
인사검증 절차 진행 중…전문성 부족 논란 해소 과제

[코리아드론매거진] 오명하 기자 = 대표적인 전국구 원외 친명(친이재명계) 인사인 강위원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호남특보단장 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고문이 전남도 경제부지사로 내정되면서 지역 현안 해결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도는 박창환 전 도 경제부지사가 기획재정부로 복귀하면서 후임자로 강 고문을 내정했다.
도는 최근 개방형 직위였던 경제부지사를 별정 정무직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도는 인사위원회 등 강 고문에 대한 인사 검증 절차를 밟고 있다. 인사 검증 절차에서 문제가 없으면 20일 전에 임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경제부지사는 일자리 창출, 주력 산업 육성 등 경제 분야 도정은 물론 정치권과 소통하며 국비 예산 등 재정 확보, 지역 현안 추진을 지휘하는 자리다. 그동안 기획재정부 출신이 대부분 경제부지사를 역임했다.
다만 전남도는 민선 8기 잔여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중앙 부처 공무원을 인선하기 쉽지 않다고 보고 별정직 1급 공무원 임용 방침을 세웠다. 개방형은 공모를 거쳐야 하지만, 별정직은 인사권자가 임명할 수 있다.
강 고문의 전남도 경제부지사 임명과 관련해 도청 안팎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먼저 강 고문이 이재명 정부와 전남도 간 가교 역할을 하면서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도민 30여 년 염원인 국립의대 설립과 재생에너지 사업, 에너지 고속도로, 기본소득, 광주 군·민간 공항 이전 문제, 대형 SOC 사업 등을 추진하는 데 정무적 역할을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남지역 재선거 과정에서 지역 민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정부에 호남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반면 전문성 부족 논란은 풀어야 할 과제다. 정무부지사는 전략산업국, 에너지산업국, 일자리 투자유치국을 소관한다. 의회·정부·국회·정당·경제단체 등과 대외 협력도 담당해야 해 자칫 행정 리더십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차기 지방선거까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개방형으로 모집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무적으로 풀어야 할 현안도 많은 상황인 만큼 다양한 의견을 취합 중이다"고 말했다.
강 고문은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5기 의장 출신으로 경기도 농수산진흥원장을 지냈으며 친명 원외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 1기 상임 대표, 2기 상임 고문을 맡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