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이병훈 의원, 원도심 공실에 스타트업 혁신도시 조성
bannerbannerbannerbanner
뉴스
정치

이병훈 의원, 원도심 공실에 스타트업 혁신도시 조성

이지은 기자
입력
- 청년주도 – AI 토대, 문화콘텐츠·바이오·모빌리티 분야

 

[코리아드론매거진] 이지은 기자 = 이병훈 더불어민주당 광주동구남구을 예비후보는 금남로 등 원도심 일대에 인공지능을 토대로 문화콘텐츠, 바이오, 모빌리티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이 대거 입주하여 광주의 신경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남밸리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임을 밝혔다. 이 의원은 이 프로젝트를 이끌 주역으로 청년세대를 지목하고 청년이 가진 참신한 아이디어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열정, 뉴트렌드에 대한 관심, 기존 체제에 대한 높은 혁신지수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금남밸리 프로젝트는 약 30%에 이르는 극심한 공실률로 몸살을 앓고 있는 금남로 등 원도심 지역에 청년이 가진 성장가능성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영상·디자인·게임·음원 등 문화콘텐츠 ▲의료·헬스케어·뷰티관광 등 바이오 분야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분야로 이뤄지는 3대 미래산업의 알토란 지역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의원은 우선 아직 미답의 상태에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아시아문화전당 창제작센터와 연계하여 첨단영상, 디자인, 게임, 음원, 엔터테인먼트 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5대콘텐츠를 집중 육성할 계획임을 밝혔다. 현재 광주의 문화콘텐츠산업 규모는 전국의 1.7%로 미미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므로 수도권과 대등한 규모의 콘텐츠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기술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아시아문화전당의 창제작센터가 다수의 스타트업 기업과 연계하여 연구 및 투자를 위한 전시 등 파트너십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봤다.

 

또 의료·헬스케어·뷰티관광 등 바이오 분야에 있어서는 주요 의료기관인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기독교병원이 광주 원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피부미용 등 뷰티 관련 다수의 기업들도 원도시에 포진되어 있으므로 이를 잘 엮어낼 경우 뷰티관광 분야의 새로운 산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봤다. 최근 뷰티타투 등 분야가 광주원도시 지역을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으며, 그동안 걸림돌이 되어온 의료법으로부터 일정기간 규제 샌드박스를 허용함으로써 뷰티타투의 안정성을 실증할 수 있게 해달라는 수요가 매우 커지고 있음을 주목했다. 또 원도시에 스마트헬스케어 타운을 조성할 경우 이에 대한 주요한 기술개발도 금남밸리의 몫이 될 것임을 밝혔다.

 

향후 다가올 모빌리티 산업에 있어서 대규모 설비 및 기반시설이 필요한 제조 부문은 광주의 자동차산단 권역에 설치하되 모빌리티 안에서 이뤄지는 각종 ICT관련 소프트웨어는 원도시의 오피스 타운에서 집중 육성하는 등 역할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 가장 필요한 기반시설이 인공지능 데이터댐인데, 광주는 이미 88.5페타블롭스(PF)의 세계적 규모 AI데이터센터 구축을 완료했으며 2023년 말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후보는 이런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모빌리티 분야 콘텐츠와 서비스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집중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의원이 밝힌 금남밸리의 주요 내용은 이의원이 국회 4년 동안의 활동에서 많은 전문가와 포럼, 토론회 등을 통해 얻어낸 연구성과들이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은 이미 실증단계를 거쳤다. 또 문화콘텐츠 분야는 그가 문체부의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장으로 재임 시 계획을 수립했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종합계획에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이의원은 광주 청년의 성장은 이미 기성세대의 상상을 넘어서고 있고 그 가능성도 매우 밝다.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자율적 성장 생태계의 조성에 깊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
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