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성광스모그 無동력 無필터 매연저감장치 중국 특허도 등록
bannerbannerbannerbanner
광주전남
광주광역시

성광스모그 無동력 無필터 매연저감장치 중국 특허도 등록

오명하 기자
입력
- 세계최초 無동력·無필터·초소형5분장착·최저비용·無사후관리 방식의 내연 기관용/차량용매연저감장치 - 건설기계, 중장비, 선박, 군용 장비 등 기존의 후처리 방식의 매연저감장치 장착이
- 세계최초 無동력·無필터·초소형5분장착·최저비용·無사후관리 방식의 내연 기관용/차량용매연저감장치

- 건설기계, 중장비, 선박, 군용 장비 등 기존의 후처리 방식의 매연저감장치 장착이 불가능한 산업군에서도 사용
사진 = 성광스모그 제공

[코리아드론매거진] 오명하 기자 = 성광스모그가 개발한 매연과 미세먼지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신개념 친환경 매연 저감장치 EID가 세계최대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에서 특허를 인증받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성광스모그의 EID(Exhaust Induction Device for Improvement of combustion efficienc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는 내연기관의 연소 효율 개선 및 배기가스의 빠른 추출을 위한 배기 유도장치입니다. 특히 無동력·無필터·초소형5분장착·최저비용·無사후관리 방식의 내연 기관용/차량용매연저감장치로 세계최초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습니다

기존 매연저감장치와는 달리 무동력· 무필터 방식으로 전기적, 화학적 장치없이 내연기관의 연소개선을 통해 매연발생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EID 매연저감장치는 건설기계, 중장비, 선박, 군용 장비 등 기존의 후처리 방식의 매연저감장치 장착이 불가능한 산업군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역학을 활용하여 내연기관의 불완전연소 상태를 개선하고 완전연소 유도를 통해 매연 저감 및 내연기관의 성능 향상까지 가능하게 해줍니다.

성광스모그의 EID 매연저감장치는 미국, 유럽 39개국에서 특허 등록을 완료하였으며, 이번에 중국 특허 등록으로 세계적으로 독창적인 기술력을 인증받게 된 것입니다.

이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내연기관의 미세먼지저감 인증 및 탄소감축인증을 받을 수 있다.

성광스모그 홍금표 회장은 “배기관 끝에 EID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고 운행하는 것 만으로도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 매연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매우 크며, 연소개선을 통해 지구온난화 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의 발생량도 감축할 수 있어 '넷제로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무동력, 무필터 방식 내연기관 매연 저감장치인 EIDI는 모든 승용차는 물론 화물차, 중장비, 선박, 발전기 심지어 탱크까지 모든 내연기관에 장착할 수 있고, 내연기관의 구조 변경 없이 배기관 말단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제품으로 반영구적인 제품으로 '넷제로 실천'은 물론 엔진의 소음과 진동 역시 급감, 주행과정에서 부드러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어 정착한 운전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EIDI는 일반저감장치와 차별화된 제품으로, 모든 내연기관의 폭발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불완전 연소된 매연배출가스를 감소시켜 HC, NOX, CO 등의 유해물질이 연소되어 엔진의 파워 증가, 질산화물 NOX 저감, 연료비 절감, 진동, 냄새가 급감하여 완전 연소된 결과물인 맑은 물을 마후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EIDI는 기존의 매연저감장치와는 달리 후처리 방식으로 자동차 마후라 후단에 간단하게 누구나 장착을 하면 되는 것으로, 장착 후 15~40% 정도의 연료절감과 매연저감 효과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매연저감장치와는 달리 후처리 방식으로 자동차 마후라 후단에 간단하게 누구나 제품을 장착하기만 하면 되며, 15~40%의 연료비 절감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고 성광스모그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오명하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
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